미용

|  위젯용 컨텐츠 예시입니다.

[심리연구][SPSS] T검정(T Test) 대응표본 T검정(Paired-Sample T test) 통계분석 연구보고서 사례

 

 

 

1 사례 연구: 심상의 비교(SPSS 심리연구 분석)

누군가에게 연구자의 집에는 얼마나 많은 창문이 있습니까?라고 질문을 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집에 대한 심상을 떠올려보고 그 질문에 대답하려고 할 것이다. 심상의 활용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 어떤 심리학자는 정보는 실제로는 추상적인 형태로 저장이 된다고 하면서 우리가 느끼는 심상은 착각일뿐(그런 것은 수반 현상일뿐이다)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가 심상의 많은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일련의 표상체계를 사용하여 정보를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여러 종류의 증거가 있다. 이 실험은 그런 증거 중 하나를 모델로 보고 시행한 것이다.

사자가 늑대보다 더 큰지 아닌지를 결정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상상해보자. 연구자는 보다 추상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회상하면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나란히서 있는 두 동물의 심상을 형성하고, 어느 것이 더 큰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연구자가 심상 방식을 택한다면 두 동물이 매우 다른 크기를 가진 동물일 때보다 유사한 크기를 가진 동물일 때 의사결정을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의사결정이 보다 추상적인 형태의 표상에 따라 이루어진다면, 그때는 동물의 상대적인 크기의 차이가 의사결정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심리학자는 유사한 크기를 가진 두 동물을 비교하는 것이 유사하지 않은 크기를 가진 동물을 비교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면, 이것은 이러한 의사결정이 심상표상과 같은 이미지 형태의 조작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생각을 지지해주는 결과를 제공해주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우리의 실험에서 16명의 참가자가 20시행을 실시하였다. 각 시행에서 참가자에게는 한 쌍의 동물 이름이 주어지고, 참가자는 가능하면 빨리 어느 동물이 더 큰지를 응답해야 하는 것이었다. 이런 의사결정에 걸린 시간이 기록되었다.(1,000분의 1초 단위) 시행의 절반에서는 두 동물 크기의 차이가 컸고(: 모기-코끼리), 시행의 다른 절반에서는 크기 차이가 적었다.(: 일반 말-얼룩말) 다음의 데이터 표에는 크기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동물들에 대한 의사결정 시간의 평균(1,000분의 1초당)과 크기에서 작은 차이를 보이는 동물들에 대한 의사결정 시간의 평균(1,000분의 1초당)을 제시하였다.

 

분석(A) > 평균비교(M) > 대응표본 T검정(P)…

 

출력결과 : 대응표본 통계량(Paired Statistics)

 

대응표본 통계량

 

평균

N

표준화 편차

표준오차 평균

대응 1

대형 동물 크기 차이

1156.69

16

290.049

72.512

소형 동물 크기 차이

1462.44

16

500.496

125.124

 

 

대응표본 상관계수

 

N

상관관계

유의확률

대응 1

대형 동물 크기 차이 & 소형 동물 크기 차이

16

.893

.000

         

 

 

대응표본 검정

 

대응차

t

자유도

유의확률 (양측)

평균

표준화 편차

표준오차 평균

차이의 95% 신뢰구간

하한

상한

대응 1

대형 동물 크기 차이 - 소형 동물 크기 차이

-305.750

274.255

68.564

-451.890

-159.610

-4.459

15

.000

                   

 

 

결과표 만들기

1 결과 도표: 대응표본 T검정(심상의 비교) - 연속형 자료들 간의 차이 (n=15)

집단

표본수

평균

표준화 편차

t

p

대형 동물 크기 차이

16

1156.69

290.05

15

-4.459***

0.000

소형 동물 크기 차이

16

1462.44

500.50

p***0.01

@@@

 

결과보고

동물의 대응 쌍 중 어느 것이 더 큰지 판단하는 시간의 평균은 큰 차이를 구분하는 경우 보다 작은 차이를 구분하는 경우가 더 길었다.(각각 1462.44ms, 1156.69ms) 대응표본 T 검정에서 두 조건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의 크기는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t=4.46, df=15, p<.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