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2025.04.29 10:22

프로이트 전집 표준판 개정본

Views 8 Votes 0 Comment 0

https://knpaca.kr/translation/rse24/index.html

 

『프로이트 전집 표준판 개정본』

RSE (2024)

The Revised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Author
Translators

Sigmund Freud

Mark Solms (English), Phillip Y. Park (Korean)

 

1 한글판 번역 서문


1.1 저자 및 역자들

1.1.1 Sigmund Freud: GW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근대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의 기초를 닦은 선구적인 사상가로서, 그의 수많은 논문과 저술은 그 분야에 혁명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었습니다. 『프로이트 전집 (Gesammelte Werke)』은 그의 시대를 뛰어넘어 현재까지도 많은 학자와 임상가들에게 영감을 주며, 그의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다양한 번역과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1.2 James Strachey: SE

James Strachey에 의해 번역된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는 프로이트의 작품을 영어권에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중요한 출발점이었습니다. Strachey의 번역은 23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순한 언어적 전환 그 이상입니다. 그는 프로이트의 복잡한 이론과 개념을 영어로 정확히 전달하며 텍스트의 맥락과 의미를 유지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러한 작업 덕분에 프로이트의 이론이 국제적으로 확산되었고, 심리학 및 정신분석학의 기초를 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Strachey의 공헌은 프로이트의 사상을 보다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이후 지식 전파와 학문적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1.1.3 Mark Solms: RSE

Mark Solms는 Ilse Grubrich-Simitis와 협력하여 2024년에 The Revised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를 번역·출간하며 프로이트의 저작물을 개정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이번 개정판은 새로운 자료의 발견과 현대적 해석을 반영하여 기존의 23권을 24권으로 확장했습니다. Solms의 개정은 프로이트의 원고들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포함하여, 초기 해석에서 놓쳤을 수 있는 세부사항과 뉘앙스를 반영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작업은 프로이트의 사상이 오늘날에도 얼마나 의미 있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재조명하며, 정신분석학의 학문적 토대를 확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Solms의 개정 작업은 프로이트의 저작물이 현대 심리학적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깊이 있게 탐구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1.1.4 Phillip Y. Park: 『프로이트 전집 표준판 개정본(RSE)』

2024년에 Phillip Y. Park는 Mark Solms가 개정·번역한 프로이트의 저작물을 한국어로 번역한 『프로이트 전집 표준판 개정본(RSE)』을 통해 한국 독자들에게 새로운 접근을 제공합니다. Park의 번역은 단순히 언어를 변환하는 것을 넘어,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을 재해석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는 유럽 중심의 프로이트의 사고방식이 아시아의 문화적 가치 및 사회적 구조와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작업과도 연결됩니다. Park의 번역은 동·서양의 학문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결론적으로, 프로이트의 저작물들은 다양한 번역과 개정을 통해 각각의 시대와 문화적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이런 과정은 심리학과 정신분석학의 국제적 담론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죠. James Strachey, Mark Solms, 그리고 Phillip Y. Park의 노력 덕분에 프로이트의 복잡한 사상과 이론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되고 적용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학문적 활동들은 프로이트의 이론이 지속적으로 재해석되고 현대의 학문적 논의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1.2 이 책 활용 방법

이 웹판 개정본은 컴퓨터 화면에서 보는 것과 모바일폰으로 보는 것은 차이가 큽니다. 가능하면 컴퓨터 모니터로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컴퓨터 화면에서는 내용이 3등분 되어 있습니다.

 •왼쪽: 24권의 목차가 있고, 각 권을 클릭하면 바로 그 해당 권으로 옮겨갑니다.

 •가운데: 24권 중에서 각 권에 해당되는 책 전체가 보여지기 때문에 개인의 인터넷, 웹 환경에 따라 스크롤링 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천천히 보면 각권의 내용을 끝까지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왼쪽의 각권에 따른 가운데의 본문과 함께, 오른쪽이 소제목이 보입니다. 전체를 보려면 PageDown 해서 보시면 되며, 오른쪽에 보이는 소제목에 따라 보시려면 소제목을 클릭하면 바로 그 소 제목에 따른 내용을 가운데 본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1.3. 연락하기

『프로이트 전집 표준판 개정본(RSE)』은 초벌 번역된 것으로 학술적 인용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연구자분들께서는 영어 원서와 대조하여 보다 정확한 번역으로 인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이 번역은 앞으로 더 나은 발전을 위해 계속 수정될 예정입니다. 번역과 관련된 제안이나 수정 사항이 있다면 번역자의 CV에 기재된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바쁜 일정으로 인해 답변이 지연되거나 개인적인 답변을 받지 못할 수도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연구자로서 모든 질문에 직접 답변드리기 어려울 때가 있음을 양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번역된 내용과 관련하여 제안, 수정, 또는 첨삭해 주실 내용이 있으시다면 매우 환영합니다. 번역자의 이력서에 있는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더 나은 번역을 위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함께 한국에서 정신분석 심리상담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1.4 감사의 글

번역자가 정신분석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 수련 과정으로 거치면서 좀 더 깊은 인간의 심리적 이해를 위해 궁금해하면서였습니다. 이후 예명대학원대학교에서 정신분석을 공부하면서 좀더 한걸음을 더 내딛게 되었습니다. 특별히 예명대학원대학교 정신분석상담학 주임교수님이신 강응섭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교수님께서는 번역자도 구하지 못했던 A New German-English Psycho-Analytical Vocabulary (1943) 책을 구해 주셔서 용어들을 정리하는데 큰 도움을 주셨습니다.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에서 정신분석 연구와 유대를 가질 수 있도록 함께 해 주신 임원 및 회원 여러분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1.5 번역 일정

  • 1.0: 2024.12.20: 초벌 번역 및 홈페이지 게시

  • 1.1: 2024.12.30: 오타 수정 및 홈페이지 게시 수정

  • 1.3: 2025.06.30: 외국어(영, 독, 프, 라, 히 등) 단어 정리, 오·탈자 수정

  • 1.5: 2025.12.30: 번역 내용 수정

  • 2.0: 2026.07.30: 번역 내용 수정 및 번역자의 각주 첨가


 

2024년 12월 30일

Phillip Y. Park


목록형 컨텐츠

목록컨텐츠 예시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Notice 공지 한강 여류작가 한강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 관리자 2024.10.12 461
17 공지 이안 스튜어트의 별세 소식 (2024.09.17) 관리자 2024.10.03 379
16 공지 Passing away of Ian Stewart (2024.09.17) 관리자 2024.10.03 403
15 공지 마크 위도우슨의 별세 관리자 2024.10.03 376
14 공지 Passing away of Mark Widdowson (2024.08.11) 관리자 2024.10.03 388
13 이벤트 신경교류분석의 의미 관리자 2024.12.04 290
12 이벤트 The meaning of Neuro-Transactional Analysis 관리자 2024.12.04 301
11 이벤트 이수정 교수 “윤 대통령 탄핵되더라도 선관위는 털어야” 관리자 2024.12.14 310
10 이벤트 Significance of Neuro-Transactional Analysis 관리자 2024.12.23 281
9 신경교류분석의 의의 관리자 2024.12.23 229
8 이벤트 프로이트가 비의사 정신분석가를 허용한 이유 관리자 2024.12.26 284
7 이벤트 The Definition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Neuro-Psychoanalysis 관리자 2025.01.02 275
6 이벤트 Neuro-Psychoanalysis의 정의와 발전 방향 관리자 2025.01.02 294
5 이벤트 Simund Freud가 의사가 아닌 사람에게 정신분석을 허용한 이유의 뒤안길 관리자 2025.01.14 292
4 이벤트 니체의 영원회귀(Ewige Wiederkunft)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관리자 2025.01.31 137
3 이벤트 초기불경을 번역한 영어 역본 제목 관리자 2025.04.11 52
2 이벤트 수천년동안 이어진 붓다의 말씀 관리자 2025.04.15 35
» 공지 프로이트 전집 표준판 개정본 관리자 2025.04.29 8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